특징 ▸ 디지털트윈 : 4차산업혁명 시대의 주인공은 디지털트윈이 된다. 디지털트윈은 실제 세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상의 디지털 세계에서 물리적 특징을 동일하게 반영한 실제와 똑 같은 트윈(쌍둥이) 공간을 구현하는 기술이다. NASA가 우주탐사 기술개발에 디지털 트윈을 반영하면서 시작되었고, GE가 엔진, 터빈 등 제품에 디지털트윈 모델을 적용하면서 발전되었다. 실제세계와 가상세계의 실시간 동기화를 모사(Mirror)-관제(Monitoring)-모의(Simulation)-연합(Federation)-자율(Autonomous/AI)의 5단계로 구현하며 이를 통해 모니터링, 시뮬레이션, 예측 등 다양한 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 의사결정에 활용한다. 디지털전환(DX), 스마트팩토리, 메타버스,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최첨단의 기술지식과 최첨단 컴퓨터 소프트웨어 실력을 갖춘 최고의 디지털트윈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양성한다. ▸ 적용분야 : 로봇 생산/제어 시뮬레이션, 자동차 모델링/생산/자율주행 시뮬레이션, 건축구조/공조 시뮬레이션, 스마트시티, 재난/안전/교통제어 시뮬레이션, 기후 시뮬레이션, 국방/전투 시뮬레이션, 의료 실습/수술/진단/응급 시뮬레이션, 철도 관제/차량설계 시뮬레이션 ▸ 관련컴퓨터기술 : 소프트웨어, 하드웨어, 인공지능, 3D 모델링, 시각화, IoT, 클라우드, 네트워크, 보안 |
진로 ▸ 글로벌취업 : 마이크로소프트, 애플, 엔비디아, 구글, 메타, 아마존, 어도비, 블리자드, 에픽게임즈(언리얼), 유니티, 닌텐도 등 ▸ 국내취업 : 삼성전자, LG전자, SK, 네이버, 카카오, 라인, 쿠팡, 배민, 당근, 토스, 넥슨, 카카오, 크래프톤, 엔씨소프트, 스마일게이트, 넷마블, 펄어비스 등 ▸ 대학원진학 : 서울대, 연세대, 고려대, 성균관대, 한양대 대학원, KAIST, POSTECH, GIST, DGIST, UNIST ▸ 공무연구직 : 과기정통부, 국토부 등 공무직, ETRI(한국전자통신연구원), KOCCA(한국콘텐츠진흥원), KETI(한국전자기술연구원)등 연구직. |